인터랙션 모션 연구소

Rive란?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위한 인터랙션 모션 툴 소개 본문

RIVE

Rive란?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위한 인터랙션 모션 툴 소개

진aㅏ 2025. 2. 3. 23:21

 

나는 인터랙션 모션 디자이너이자 3D 디자이너로서 6년간 UXUI 에이전시, IT 회사, 스타트업까지 다양한 팀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 개발자들과 협업하여 작업해왔다.

 

그런데 요즘은 기업에서 인터랙션 모션그래픽 디자이너를 따로 채용하는 대신,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모션까지 다루기를 기대한다.

UI/UX 디자인을 하는 사람들에게 인터랙션 모션 역량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래서 내가 알고있는 지식을 공유하려고 이 블로그를 만들었다. 

그렇다면, 프로덕트 디자이너들은 어떤 툴을 사용해서 인터랙션 모션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까?

 

 

기존 인터랙션 모션의 한계

과거에는 After Effects → Lottie(json) 변환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After Effects로 애니메이션 제작
Lottie를 이용해 JSON 코드로 변환 후 개발자에게 전달
개발자가 이를 적용하여 앱/웹에 구현

하지만 이 방식에는 한계가 많았다.


협업이 어려움 →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기 어려움
애니메이션 수정이 불편함 → JSON으로 변환 후 수정하려면 다시 aftereffect 에서 작업해야 함
파일 용량이 커서 성능에 부담 → 모바일 환경에서 최적화가 필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툴이 바로 Rive다.

 

Rive, 왜 주목해야 할까?

Rive는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모든 것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올인원 인터랙션 모션 툴이다.

Figma처럼 협업 가능

실시간으로 다른 디자이너, 개발자와 작업 공유 가능

 

After Effects 없이도 인터랙션 모션 제작 가능

디자인, 애니메이션 제작부터 최적화까지 한 곳에서 해결

 

용량이 훨씬 가벼워 앱 퍼포먼스에 유리

기존 Lottie보다 가벼운 파일 크기 제공 → 앱 로딩 속도 & 성능 최적화 가능

 

State Machine(상태 머신)으로 더 강력한 인터랙션 구현

단순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적인 인터랙션 가능

버튼 클릭, 드래그, 호버 같은 다양한 사용자 액션을 반영 가능

 

이런 이유로, Rive는 앞으로 프로덕트 디자이너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툴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 인터랙션 모션 연구소에서 다룰 내용

나는 이 블로그를 통해 프로덕트 디자이너들이 Rive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 Rive 기초 개념 & 활용법
✔ UI/UX에서 인터랙션 모션이 중요한 이유
✔ 기존 방식(Lottie)과 Rive의 차이점 비교
✔ 3D와 인터랙션 모션 

 

앞으로 이곳에서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랙션 모션 팁 & 튜토리얼을 공유할 예정이니 인터랙션 모션그래픽이 궁금한 분들이 구독 누르고 자주 놀러왔으면 좋겠다 :)